
OTT 서비스를 매달 구독하는 사용자라면, 적지 않은 비용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OTT 플랫폼에서는 시즌별 할인 이벤트, 통신사 및 카드사 제휴, 쿠폰 및 프로모션 코드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요 OTT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할인 방법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하고, 실제로 적용 가능한 절약 팁을 제시합니다. 월 몇 천 원의 차이지만, 1년이면 큰 금액이 될 수 있으니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시즌별 이벤트로 할인받기
OTT 플랫폼들은 시즌 이벤트를 통해 단기적인 할인 혜택을 제공하곤 합니다. 예를 들어, 연말연시, 추석, 설날, 블랙프라이데이, 광군제 등 글로벌 및 국내 대형 쇼핑 시즌을 중심으로 OTT 플랫폼들은 자사 요금제 할인, 무료 체험 연장, 추가 혜택 제공 등의 이벤트를 기획합니다. 대표적으로 웨이브는 매년 블랙프라이데이 시즌에 1년 이용권을 30~40%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있었고, 티빙은 프리미엄 요금제를 3개월간 30% 할인 또는 1개월 무료 이용 이벤트를 진행한 적도 있습니다. 왓챠의 경우 시즌 프로모션 시 영화 또는 드라마 콘텐츠 무료 체험권을 제공하거나, 신규 사용자 한정 할인 이벤트를 개최하곤 합니다. 쿠팡플레이는 쿠팡 와우 회원을 대상으로 하여 상시 무료 제공되기 때문에 시즌 할인보다는 멤버십 유지가 핵심입니다. 이처럼 시즌 이벤트는 대부분 기간이 짧고 조기 종료될 수 있으므로, 평소 OTT 플랫폼의 공식 앱 푸시 알림이나 이메일 구독을 통해 정보를 빠르게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 블로그, SNS 채널 등에서도 이벤트 정보를 공유하는 유저들이 많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면 놓치기 쉬운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통신사, 카드사 제휴 할인 활용하기
국내 통신 3사(SK텔레콤, KT, LG U+)는 다양한 OTT 플랫폼과 제휴를 맺고 요금 할인 또는 무료 이용 혜택을 제공합니다. SKT는 웨이브와의 긴밀한 제휴를 통해 T멤버십 고객에게 최대 50% 할인된 요금으로 OTT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특정 요금제에 따라 1년간 무료 구독 혜택도 포함됩니다. KT의 경우, 디즈니+와 협업해 인터넷, IPTV와 결합 상품을 통해 OTT 요금 없이 이용 가능한 프로모션을 운영하고 있으며, 월정액 요금제에 OTT 요금을 포함시키는 방식을 통해 실질적인 할인 효과를 제공합니다. LG U+ 는 넷플릭스와 독점 제휴하여 LG 유플러스 셋톱박스를 통해 넷플릭스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며, 일부 결합상품 이용 시 요금 할인 및 콘텐츠 이용권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카드사 혜택도 놓칠 수 없습니다. 신한, 현대, KB국민 등 주요 카드사에서는 OTT 정기결제에 대해 월 1회 할인, 캐시백 또는 포인트 적립 혜택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현대카드 M Edition3는 디지털 콘텐츠 정기결제 시 최대 10%까지 할인되며, 신한 딥드림카 드는 넷플릭스, 왓챠, 티빙 등 다양한 OTT 플랫폼에 대한 정기결제를 포인트로 환급해 줍니다. 이러한 제휴 혜택은 수시로 변경되므로, 통신사 및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쿠폰과 프로모션 코드 모으는 법
OTT 요금을 줄이는 또 다른 방법은 ‘쿠폰’과 ‘프로모션 코드’입니다. 이들은 정기적으로 발행되지는 않지만, 알고 있으면 상당한 절약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수단입니다. 예를 들어, 일부 전자제품 구매 시 제공되는 사은품으로 OTT 쿠폰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의 가전제품을 구매하면 삼성멤버스나 LG 멤버십 앱을 통해 넷플릭스, 왓챠, 티빙 1~3개월 무료 이용 쿠폰을 제공받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또한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간편 결제 서비스는 특정 시즌에 OTT 정기결제 시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발행합니다. 이 쿠폰은 보통 ‘결제창 내 쿠폰 적용’ 방식으로 사용되며, 2천~3천 원 정도의 실질적인 할인 효과를 줍니다.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하는 큐텐(Qoo10), 티몬, 위메프 등의 이커머스 플랫폼에서도 간혹 넷플릭스 또는 디즈니+ 기프트카드를 할인 판매하며, 이때 구매한 기프트카드를 계정에 등록하면 자동으로 정기결제 비용을 낮출 수 있습니다. 왓챠는 신규 가입자에게 첫 달 1,000원 이벤트나 50% 할인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디즈니+도 첫 한 달 1,000원 이벤트를 통해 프로모션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 밖에도 OTT 관련 커뮤니티, 이벤트 플랫폼(예: 뽐뿌, 클리앙), 앱테크 앱에서 공유되는 프로모션 코드를 활용하면 더욱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OTT 요금은 매달 지출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상당한 금액이 됩니다. 하지만 이번 글에서 살펴본 것처럼 시즌별 이벤트, 통신사 및 카드사 제휴, 쿠폰과 프로모션 코드 등을 활용하면 실질적인 비용 절감이 가능합니다. 평소 사용하는 통신사나 카드의 혜택을 확인하고, 시즌별로 진행되는 이벤트나 커뮤니티에 올라오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면 연간 수만 원의 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 조금의 관심과 노력이 장기적으로는 큰 절약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내가 가입한 OTT와 혜택을 비교해 보고, 가장 가성비 좋은 방법으로 구독을 이어가 보세요.